본문 바로가기

공부/책

KPI 이노베이션 조직 성과측정의 올바른 이해와 혁신


성과측정이란 기본적인 '렌즈'를 의미한다.
  • 어떤 사물을 어떻게 바라보는지에 대한 관점(View)에 따라서 방향성이 달라지고 다른 결과를 얻게된다.
  • 모든 사람들이 생각하지 않는 관점을 제시하고 실천 (그리고 실패)할 수 있는 분위기가 조성되어 있어야 한다.
  • 여기서 '분위기'란 실제로 그런 실패를 감내할 수 있는 조직의 역량을 포함해야 한다.
  • 책에서는 '측정의 상황 context of measurement'이 측정의 효과를 좌우한다고 설명함.

얼마나 정밀한 측정이 가능한 가에 따라서 과학/산업의 발달이 가능했다.
성공을 측정하는 방법이 우리가 성취하는 성공을 결정한다.

측정은 동기를 부여한다.

  • 진척도를 눈으로 볼 수 있을 때 (자신의 행동에 대한 피드백(특히 긍정적인)을 바로 받을 수 있을 때) 가장 큰 성취감을 느끼고, 또 몰입의 중요한 환경이 된다.
    • 운전 할 때 쉽게 몰입이 되는 이유.

측정은 집중이 가능하게 한다.

  • 무엇이 중요한지에 대한 명확함에 의거하여, 꼭 필요한 사항에 집중할 수 있게 한다.
  • 하지만 (측정이 보상과 관련되었을 때 특히) 시야를 좁게 만드는 효과가 있어서 좀 더 큰 그림을 보는데 방해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.
  • 모든게 중요하면 진짜 중요한 것은 없는 법이다.

 개별적 측정지표들이 더 커다란 측정 프레임워크에 통합되어 있어야 한다.

  • 다른 지표들과의 관계를 고려해야 부분 최적화를 피할 수 있다.
  • 조직의 전략과  잘 연계되고 정렬되어야 한다.

상호작용성 - 측정은 기술적인 프로세스가 아니라 사회적 프로세스다.

  • 매 단계마다 필요한 피드백 순환고리 feedback loop를 활용.
  • 데이터 → 정보 → 지식 → 지혜
    • 지혜는 끊임없는 배움에서 오고,
    • 끊임없는 배움은 대체로 상호작용에서 온다.
    • 결국 '대화'를 많이 하라는 것.

완벽을 기대하지 말라

  • 흔히 범하는 오류: 부정확하지만 기대되는 새로운 통찰력을 보여주는 측정지표를 무시하고, '정밀하지만 그릇된' 측정지표를 선호.
  • 조직은 진실성을 추구해야지, 반드시 정확성을 추구할 필요는 없다.
    • 무슨 옷을 입을지 결정하는데 온도계가 필요하지는 않다. 하지만 일기예보는 들어야 우산이 필요한지 알 수있다.
  • 가능한 것은 직접 측정하고, 측정할 수 없는 것은 추산estimate하라. 완벽을 기대하지 말라

균형성과기록표 Balanced Score Card (BSC)

  • 경영시스템 (not 측정 시스템)
  • 인과 관계가 전제된 4가지 관점
    • 재무적 관점, 고객관점: 조직이 달성하기 바라는 결과를 기술
    • 내부적 관점, 학습 및 성정 관점: 그런 결과를 어떻게 달성할 의도인지 설명
  • '현재의 역량'과 '미래가치' 창출에 주의를 집중
    • 현재의 역량: 고객가치의 제안와 우수한 내부 프로세스를 통해서 창출
    • 미래가치: 한습과 성장 관점에서 무형자산을 개발함으로써 창출
    • 비재무적 측정지표도 함께 다루고 있다.


우리는 모두 우리의 학습의 산물, 또는 학습 부족의 산물이다. 성공적인 사람들은 더 많은 지식을 소유하고 있을 뿐 아니라, 또한 학습의 프로세스에 가장 능숙한 사람들이다.

오늘날의 (학교에서의) 시험은 정보의 획득을 측정하는 경향이 있다. 따라서 창의성에 관한한 전통적인 커리큘럼의 범위 밖에 놓여 있다.

단일 순환고리 학습 vs. 이중 순환고리 학습

  • 배운 것에 대한 전제를 당연히 하지않고 또 다른 의문을 품고 그것들 (기대사항, 가치, 전제조건들)에 도전한다.
  • 누구에게 답을 주는 순간, 바로 그 행동으로, 그 사람이 스스로 똑같은 답을 찾아낼 기회를 영원히 차단해 버리게 된다.

책: 똑똑한 논리학 (Being logical) p.382


이론 세우기, 측정 프레임워크, 조직학습